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50 JAVA 관련 deep한 내용들이 나와있는 사이트 정리 https://www.grepiu.com/post/9 GrepIU www.grepiu.com 각종 Collections들의 시간복잡도 2021. 12. 24. var, const, let JS에서의 변수 선언방식에는 var, const, let이 있습니다. var는 기존 선언한 변수를 다시 선언하면 덮어쓰기가 됩니다. var print = 'hi' console.log(print); // hi var print = 'hello' console.log(print) // hello 그러나 let은 이와 같이 진행하였을 경우 오류가 발생합니다.(const도 동일) let print = 'hi' console.log(print) // hi let print = 'hello' console.log(print) // 오류발생 print = 'hello' console.log(print) // hello const는 모두 오류가 발생한다 const print = 'hi' console.log(prin.. 2021. 11. 17. ES6에 대하여 React.js학습을 진행하다보면 예전에 JS를 학습할 때와는 다르게 var을 사용하지 않고 주로 const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function의 문법이 예전과 다른다는 것도 볼 수 있죠 ES5에서 왜 ES6로 쓰냐 라고 하시면 소스코드가 같은 결과를 출력하는 데 좀 더 깔끔해지기 때문? 이라고 하면 될거 같습니다. 예를 들면(자바) POINT라는 클래스에 x와 y를 int로 선언해서 사용하면서 POINT만 선언해주면 되는 것을 x에 값, y의 값들이 모여있는 배열 2개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방식 and 등이 있습니다. function print(){ return '안녕하세요' + name + '입니다.'; } console.log(print(lms0806)) 이것을 function p.. 2021. 11. 17. Springboot + React.js를 쓸 경우 Spring boot와 JSP or html로 프로젝트를 할 경우 기본적인 ajax 통신을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React.js를 이용할 경우 1개의 서버가 아닌 2개의 서버를 사용하여 기존 세션 통신을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기존 세션을 이용하여 개발을 진행할 경우 값을 React.js에서 넘겨주고 Spring boot가 받아 Spring 서버의 세션에만 값을 저장하기 때문에 React.js에서는 로그인 정보를 가져올 수, 로그인되었을 때의 반응을 할 수 없게 됩니다. 그럴 경우 JWT(Json Web Token)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JWT란 Json Web Token으로 세션에 저장한 값을 한번 더 저장을 합니다.. 2021. 11. 16.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6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