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Spring Boot8

Spring boot에서의 logback 설정 Spring boot에서는 logback위치를 java-resource의 위치에 있는 logback.xml 위치를 보고 log 위치를 지정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진행하는 경우 ${LOG_PATH}와 같은 변수가 들어가 있는 경우,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물론 이런식으로 logback.xml의 옵션으로 LOG_PATH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만약에 LOG_PATH를 특정 파일의 값으로 읽어와 지정하는 경우에는 해당 방식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그래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LOG_PATH에 대한 값을 소스코드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LoggerContext loggerContext = (LoggerContext) LoggerFactory.getILoggerFactory();logger.. 2024. 8. 5.
예외 처리 방법 Spring boot를 사용하시면, 다음과 같은 방법들로 api 요청을 보냅니다.@PostMapping({"/api"})@GetMapping({"/get/api"})만약 다음과 같이 요청이 가능한 api가 있을 때, 없는 api를 요청할 경우, 500에러를 발생하게 됩니다. 해당 에러에 대하여 특정 반환값 or 페이지를 출력하기 위해선 500 에러를 잡아서 다른 response를 보내야 합니다.@ControllerAdvicepublic class GlobalExceptionHandler { @ExceptionHandler(HttpMessageNotReadableException.class) public ResponseEntity handleHttpMessageNotReadableExceptio.. 2024. 7. 7.
Spring VS Spring boot https://youtu.be/6h9qmKWK6Io 우아한 Tech의 "닉의 Spring vs Spring boot"을 들으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 Dependency Spring : 각 Dependency에 대한 버전정보까지 1개1개 전부 걸어줘야 작동함 Spring boot : Spring-boot-starter-... 식으로 걸어주면 알아서 버전을 가져와 작동함 ※configuration Spring : 어노테이션을 엄청 걸어서 작성해야만 가능함Spring boot : application.properties나 application.yml에 내용을 수정해서 걸어주면 됨(yml이 더 간편하게 짤 수 있음) 기본은 properties #embedded server Spring : 톰캣을 외부에서 가.. 2022. 1. 1.
Springboot + React.js를 쓸 경우 Spring boot와 JSP or html로 프로젝트를 할 경우 기본적인 ajax 통신을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React.js를 이용할 경우 1개의 서버가 아닌 2개의 서버를 사용하여 기존 세션 통신을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기존 세션을 이용하여 개발을 진행할 경우 값을 React.js에서 넘겨주고 Spring boot가 받아 Spring 서버의 세션에만 값을 저장하기 때문에 React.js에서는 로그인 정보를 가져올 수, 로그인되었을 때의 반응을 할 수 없게 됩니다. 그럴 경우 JWT(Json Web Token)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JWT란 Json Web Token으로 세션에 저장한 값을 한번 더 저장을 합니다.. 2021. 11. 16.
728x90